파킨슨병 치료, RNA 편집
국내 연구진이 파킨슨병 연구에 혁신을 일으켰다. KAIST 최민이 교수팀은 영국 UCL 대학,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와 함께
RNA 편집이 파킨슨병 신경염증 조절에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파킨슨병은 뇌 속 알파 시누클레인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응집해 염증 반응을 일으키고, 결국 신경세포를 파괴하는 질병이다. 이번 연구는 파킨슨병의 발병과 진행 과정에 RNA 편집이라는 새 메커니즘이 존재함을 밝혀냈다.
RNA 편집, 파킨슨병의 새로운 치료 타깃
연구팀은 파킨슨병 환자 유래 유도만능줄기세포(hiPSC)를 이용해 뇌 면역세포인 교세포를 만들고, 알파 시누클레인 단량체를 처리해 면역 반응 변화를 추적했다. 결과는 명확했다. 알파 시누클레인 단량체가 교세포 내 면역 반응을 활성화하며, 이 과정에서 RNA 편집이 핵심 기전으로 작동했다. 특히 RNA 편집 효소 에이다원(ADAR1) 이 활성화되면서, 염증 관련 유전자들의 편집률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이 관찰됐다. 이는 파킨슨병 환자 유래 줄기세포와 사후 뇌조직 모두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 사실은 파킨슨병 치료에 있어, 기존 약물과 완전히 다른 RNA 편집 타깃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음을 뜻한다.
파킨슨병과 RNA 편집: 연구의 결정적 의미
RNA 편집은 DNA의 명령을 끝낸 후 RNA가 염기서열을 바꿔 단백질 생성을 조정하는 과정이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아데노신(A)을 이노신(I)으로 바꾸는 A-to-I 편집이며, 에이다원(ADAR1)은 이 과정을 주도하는 핵심 효소다. 이번 연구는 에이다원이 파킨슨병 병리 진행에서 중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입증했다. RNA 편집 기술을 통한 신경염증 조절은, 파킨슨병 치료에 있어 전례 없는 혁신적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 연구팀, 세계에 외치다
최민이 교수는 "기존 파킨슨병 치료법을 뛰어넘는, 완전히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며 "RNA 편집 기술은 신경염증성 질환 치료제 개발의 결정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하게 말했다. 이 획기적인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Science Advances 4월호에 게재되어 세계적 주목을 받았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과 KAIST 대교 인지 향상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요약
- 파킨슨병은 알파 시누클레인 응집과 염증 반응으로 진행된다.
- RNA 편집 효소 에이다원이 신경염증을 조절하는 핵심 기전으로 밝혀졌다.
- RNA 편집 기술을 이용한 파킨슨병 치료 전략이 새롭게 제시됐다.
- KAIST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이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 파킨슨병과 RNA 편집 연구는 신경질환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이다.